2024.12.31
3
지역주민
복지뉴스
‘제4차 학교안전사고 예방 기본계획’ 발표…3년간 예방 기본방향 제시
‘학교안전지원시스템’ 구축…학생안전 자가진단으로 맞춤형 안전교육
교육부는 각종 안전 관련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인공지능 기반 학교안전 예측사고 모델’을 도입하고, 학교안전업무 통합 플랫폼인 ‘학교안전지원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는 등 학교 현장의 안전 관리 강화 지원에 나선다.
교육부는 9일 향후 3년간 학교안전사고 예방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제4차 학교안전사고 예방 기본계획(2025~2027)’을 발표, 체험형 안전교육을 내실화하고 지속가능한 학교안전망 구축 등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제4차 계획은 새로운 교육환경에 대응하면서도 제3차 기본계획의 성과를 심화·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마련했다.
이에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학교안전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현장 중심의 안전교육, 지속가능한 학교안전망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 인공지능 및 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체계 도입
먼저 학교안전지원시스템을 내년 1월 개통 예정인 바, 학교는 학교안전지원시스템에 접속해 발생가능성이 높은 사고 유형과 예측사고별 안전관리 및 안전교육 방안을 제안받을 수 있다.
이에 제안받은 내용을 학교 교육계획 수립 단계부터 반영해 체계적으로 안전관리를 추진할 수 있다.
또한 학생안전 자가진단을 통해 학생 개인별 안전역량을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맞춤형 안전교육 등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학교안전지원시스템을 통해 신속한 재난 대비·대응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학교는 집중호우·폭설 등 자연 재난이 발생하기 전에 재난 예측 정보를 안내받아 사전에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고, 피해 상황을 학교-교육청-교육부가 실시간으로 공유해 초기 현장 대응을 강화할 수 있다.
특히 향후 대학 안전사고 관련 데이터도 구축해 유아부터 대학까지 전 학교급에 대한 안전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의 정책 활용성을 높일 예정이다.
◆ 현장 중심 체험형 안전교육 및 기반시설 확대
기존에는 지진, 화재 등 단일 재난에 대응한 재난훈련을 학교에서 수행해 왔다.
그러나 이번 4차 계획부터는 실제 복합재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재난훈련자료를 새롭게 개발·보급한다.
이에 학생 참여형 안전교육과 훈련을 2027년까지 1000개 학교로 확대한다.
도서벽지·농산어촌 지역 학생과 다문화·장애학생 등 안전취약계층을 위해 학교로 직접 찾아가는 안전체험교육과 장애학생 맞춤 체험형 교육 차량 운영 등 지원도 강화한다.
아울러 지역별 체험교육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하기 위해 전국 시도에 종합형 학생안전체험관 1개 이상 건립을 추진한다.
특히 체험시설이 부족한 지역도 소외되지 않도록 교실형, 이동형, 소규모형 등 다양한 유형의 안전체험관을 확충한다.
◆ 학교 안팎 안전환경 조성 및 지속가능한 학교안전망 구축
통학로 안전에 대한 학교 현장 수요 등을 반영해 과속방지턱, 안전 울타리, 인도 진입 방지물(볼라드) 등을 지속해서 늘려간다.
2026년까지 화재예방 시설을 확충하고, 2026년까지 석면을 제거하며 2029년까지 내진을 보강하는 등 학교 시설·환경을 지속해서 개선한다.
한편 내년부터는 학교 밖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현장체험학습 준비 단계부터 보조인력을 배치할 수 있으며 교육감은 이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한다.
아울러 학교 밖 늘봄, 유보통합 등 새로운 교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학교안전사고 보상공제 사업인 공제급여를 정비한다.
각 시도 학교안전공제회 간 공제급여 지원 편차도 최소화하기 위해 공제급여 지원 표준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대국민 안전 운동, 안전 점검의 날을 계기로 학부모 교육, 생활 속 안전 실천 등 안전의식 개선을 위한 과제를 계속해서 추진한다.
지속 가능한 학교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행안부-경찰청 등 관계기관과의 협업도 강화할 방침이다.
전진석 교육부 교육자치협력안전국장은 “이번 제4차 학교안전사고 예방 기본계획을 통해 신종 재난·사고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학교·학교 구성원의 안전역량을 높여 안전한 학교가 구현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